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연령별 필수 예방접종 리스트

by 빨간모자와늑대이야기 2025. 3. 22.
반응형

 

예방접종, 왜 연령에 따라 다를까요?

우리 몸은 성장과 노화 과정에서 면역 체계의 상태가 계속 변화합니다. 그래서 나이에 따라 필요한 예방접종도 달라지며, 연령대별로 꼭 맞아야 하는 백신이 정해져 있습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 영유아, 청소년, 성인, 중장년층, 고령자까지 연령별로 꼭 맞아야 하는 예방접종 리스트를 정리해드립니다.

 

① 영유아 (0~6세)

생후 몇 개월 차에 따라 정기 예방접종이 정해져 있습니다.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보건소 및 지정 병원에서 무료 접종 가능합니다.

  • BCG (결핵)
  • DTP (디프테리아, 파상풍, 백일해)
  • 폴리오, B형간염, 폐렴구균, Hib
  • MMR (홍역, 볼거리, 풍진)
  • 수두, 일본뇌염, A형간염
  • 로타바이러스 (선택 접종)

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 바로가기

 

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

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

nip.kdca.go.kr

 

② 청소년기 (7~18세)

학교를 통해 접종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, 성장이 빠른 시기라 일부 백신은 추가접종이 필요합니다.

  • DTaP 추가접종 (11~12세)
  • 인유두종바이러스(HPV) 백신 – 여성(12~17세) 무료
  • 수막구균, A형간염, 일본뇌염 추가접종
  • 독감 백신 – 매년 권장

💡 성조숙증, 면역질환 등이 있는 청소년은 개인 상황에 맞는 맞춤 접종이 필요합니다.

 

③ 20~40대 성인

성인이 된 후 접종력이 불명확하거나 항체가 없는 경우, 기초 및 보강 접종이 필요합니다.

  • MMR – 과거 접종력 없거나 1회 접종자
  • B형간염 – 항체 미보유자 3회 접종
  • HPV – 여성 45세 이하, 남성도 일부 접종 권장
  • Tdap – 10년마다 1회, 임신부는 매회 임신 시 접종
  • 독감 백신 – 매년 접종 권장

📌 의료계 종사자나 해외여행 계획이 있는 경우 추가 백신이 필요할 수 있어요.

 

④ 50대 이상 중장년층

면역력이 점차 감소하고 만성질환이 증가하는 시기로, 성인 예방접종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대상포진 백신 (조스타박스 또는 싱그릭스)
  • 폐렴구균 백신 – 기저질환자 우선
  • Tdap – 최근 접종력 없을 경우 1회
  • 독감 – 매년 가을 접종
  • A형, B형 간염 – 항체 없는 경우

 

⑤ 65세 이상 고령자

노년층은 감염 시 치명률이 높기 때문에, 국가에서 무료로 지원하는 예방접종이 많습니다.

  • 폐렴구균 – 1회 무료 (뉴모23)
  • 독감 백신 – 매년 무료
  • 대상포진 백신 – 유료이나 필수 권장
  • COVID-19 추가접종 – 고령자 및 면역저하자 우선

✅ 동네 보건소에서 간단한 절차로 접종 가능하며, 신분증 지참 필수입니다.

 

연령별 예방접종, 미리 체크하면 건강이 달라집니다

백신은 질병이 생기기 전에 막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.

하지만 막연히 '언젠가 맞아야지' 하고 미루다 보면 적절한 시기를 놓치거나 중복 접종, 접종

반응형